이야기
-
미국의 전략적 인내....이야기/좋은 이야기 2015. 1. 2. 23:49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이 미국 조야 주류의 대북정책의 핵심인 전략적 인내를 두고 최근 칼럼에서 한 얘기가 와 닿는다. "미국이 전략적 인내 정책으로 시간을 끌면, 그 툼새시간에 북한은 결국 핵보유국이 된다. 북한이 핵탄두 몇 개를 가져봤자 미국에는 별 위협이 안 되지만 ,한국이나 일본에는 절대 위협이 된다. 특히 북한에 핵멱살 잡히면 한국은 북한의 일거수 일투족에 전전긍긍하면서 대미 안보의존도를 높일 수 밖에 없다. 그렇게 되면 동북아 미국 무기시장은 확장되고 북한을 빙자한 중국 견제도 강화할 수 있다. - 병 주고 약 주는 미국, 한승동의 독서무한, 정세현의 통일토크(정세현, 서해문집, 2013), 한겨레신문, 2015.1.2.
-
한가로운 뜨개질? 그것은 신비로운 진통제, 이명수 정혜신, 한겨레신문, 2014.12.28.이야기/좋은 이야기 2014. 12. 30. 21:25
사회일반이명수 정혜신의 ‘안산 치유 일기’…한가로운 뜨개질? 그것은 신비로운 진통제등록 : 2014.12.26 19:32수정 : 2014.12.28 10:17툴바메뉴스크랩오류신고프린트기사공유하기facebook2461twitter395보내기안산시에서 가장 오래된 동네이자 단원고가 인접한 단원구 와동에 자리잡은 ‘치유공간 이웃’은 50여평의 좌식 공간이다. 이 안에 걸려 있는 큰 그림은 김선두 화백이 그린 ‘봄소풍’이다. 이 그림엔 우리와 다른 세상으로 봄소풍을 떠난 아이들의 밝은 모습이 담겨 있다. 지난 23일 오후 치유공간 이웃의 이명수 대표(왼쪽)와 정혜신 치유자가 그 그림 앞에 섰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토요판] 세월호 특집▶ 정혜신 이명수 부부는 심리치유 전문기업 ‘마인드프..
-
그것으로 충분하다, 이명수, 한겨레신문, 2014.12.30.이야기/좋은 이야기 2014. 12. 30. 21:21
‘당황하지 않고 빡! 끝!’이라는 대사로 폭발적인 인기를 끈 개그코너가 있었다. 하지만 상황이 거기서 끝나는 경우는 한번도 없다. 늘 그 말을 내뱉은 허당조폭의 비참으로 끝을 맺는다. 이유는 단 한가지. 싸움을 몸이 아니라 책으로 배워서 그렇다.살다 보면 실천이 중요한 순간에 이론을 앞세워 낭패를 보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한때 육아백과사전을 두번만 완독하면 아이를 잘 키울 수 있다며 직원들을 닦달하신 재벌 회장님도 계셨다. 실화지만 그게 얼마나 코미디였는지 이젠 모두 안다. 키가 180 이하인 남자는 연애 상대가 아니라거나 여행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과는 결혼하지 않겠다는 젊은 시절의 다짐도 말만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다. 사람 사이에서는 그런 조건이나 다짐을 무기력하게 만드는 숱한 화학작용이 있어서 그렇..
-
기술의 윤리학, 로봇의 도덕이야기/재미있는 이야기 2014. 11. 15. 08:33
주간경향1101호, 흥미로운 기사가 실렸다. 인공지능 수퍼컴퓨터, 자연재난, 핵발전, 전쟁, 전염병 등 인간사회의 불향을 불러오는 것이 무엇이든, 결국 그것을 작동시키는 것은 인간의 탐욕(과 탐욕에 눈먼 무지)이 아닐까.완전무인자동차를 우리사회에서 받아들일 것인가' 하는 질문을 생각해보자. 미국의 교통사고 사망자는 201년 기준 연간 3만 3000명이 넘는다. 만일 완전 무인자동차가 등장해 이 숫자를 1000명 수준으로 급격히 낮출 수 있다면 완전 무인자동차를 받아들일 것인가? 강연에서 자주 던지는 이 질문에 대한 청중의 반응은 찬성과 반대가 반반이다.왜 많은 사람들이 반대할까? 사람의 잘못으로 사람이 죽는 경우는 심리적으로 받아들이지만, 기계의 판단에 따른 실수는 그것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프로그램에..
-
GMO 불임과 난임을 유발한다(녹색평론 138번)이야기 2014. 10. 13. 13:03
분명히 말하자면 GMO 는 절대 이 땅에 뿌리내리게 해서는 안됩니다. 1998년에 영국의 푸스타이 박사가 이미 실험했던 것을 시작으로, 그 후 여러 독립연구가 있었죠. 그중 가장 완벽한 실험으로 인정받은 게 재작년 프랑스 파리대학의 셀라리니 교수팀이 발표한 연구결과죠. 실험용 쥐 2,000마리한테 2년 동안, 사람으로 치면 약 10년 동안, 계속해서 GMO 옥수수와 GMO 콩을 먹여봣는데, 결과는 각종 종양이 생기고, 장과 위장이 비틀어지고, 유방암이 생겼습니다. 피해는 암컷과 수컷이 7대 3 비율로 나타나요. 특히 여성들은 절대로 GMO 콩나무, GMO 두부, 두유를 먹어선 안됩니다. 동물 실험 결과로 볼 때, 여성이 훨씬 더 취약합니다. 2세로 가면 자폐증과 불임증이 나타납니다. 그럴 수 밖에 없는 ..
-
거기 누구 없오?이야기/재미있는 이야기 2014. 9. 23. 11:58
교 환 어떤 뛰어난 등반가가 있었다.그는 절벽에서 미끌어져죽음의 위기에 놓였으나 가까스로절벽 등성이에 삐져나온 나뭇가지를붙잡게 되었다.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이었겠는가?그는 기도하기 시작하였다.그러자 우렁찬 목소리가산을 울리며 메아리쳐 왔다."나는 하느님이다. 무엇을 원하는가?"등반가의 기쁨이 어떠했을지 생각해 보라.다급한 등반가의 대답은 분명했다."저를 살려주십시오!"자신의 신화가 그러하였듯이 등반가는흥정하기 시작했다."만약 저를 살려만 주신다면,더욱 자주 미사를 드리고미사 독서자의 일도 하며보이스카웃도 열심히 하겠습니다."하느님께서 응답하셨다."그래, 좋다. 그런데 너는나를 사랑하느냐?"그는 누군가를 사랑한다고 대답하였다."정말 사랑합니다. 그러니 제발 빨리 구해주십시오.가지가 부러지려 합니다.""너는..
-
예술에 대한 하이데거의 설명이야기 2014. 7. 28. 16:34
사전에서 예술을 찾아보면 대체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활동, 그리고 그 작품이라는 식의 설명이 실려있다. ....그런 사전적인 해석과는 조금 다른 관점에서 예술을 설명한 사람이 있다. 19세기 후반에 독일에서 태어나 20세기에 활약한 마르틴 하이데거라는 철학자다. .... 예술이라는 것은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나 그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며, 그것을 예술가가 예술 작품을 통해 표출시킨다. ...요컨데 예술가나 예술 작품에 예술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근원으로서 존재한다는 생각이다....진정한 예술은 화가가 그림으로 나타내려고 한 마음이나 이미지이며, 모델이나 풍경이 지닌 냄새나 공기감, 삶의 모습, 감촉 같은 것이다. 그는 예술작품의 근원 이라는 저서에서 고흐의 구두라는 작품을 예로 자신의 예술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