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이야기/교육놀이
-
손가락 세워 때리기학교이야기/교육놀이 2016. 2. 14. 11:57
1. 8명 내외의 한 모둠이 원을 만들어 앉는다.2. 둥글게 모여 앉아 엄지가 위로 가게 해서 주먹을 쥔다.3.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1부터 전체 엄지손가락 수 중에 아무 숫자를 말하며 이때 각자 엄지를 하나 또는 두개를 세우거나 아예 세우지 않는다.4. 제로를 말하고 아무도 엄지 손가락을 세우지 않으면 전체 엄지손가락 수 +1번 손등을 때린다.5. 맞힌 사람은 또 다시 기회를 얻으며 말한 숫자와 세워진 손가락 수가 같으면 숫자를 부른 사람이 부른 수만큼 손등을 때린다.6. 맞추지 못하면 다음 사람에게 기회가 넘어가며 계속 진행된다.
-
헷갈려학교이야기/교육놀이 2016. 2. 14. 11:53
1. 8명 내외의 한 모둠이 원을 만들어 앉는다.2. 시작하는 사람이 아무나 가리키면서 헷이라고 말한다. 그 다음 오른쪽 사람이 아무나 가리키면서 갈이라고 말한다. 이어서 오른쪽 사람이 아무나 가리키면서 려라고 말한다. 3. 그러면 이때 지적당한 사람이 다시 아무나 가리키면서 헷이라고 말하며 처음처럼 똑같은 방법으로 돌아간다.4. 틀린 사람에게는 인디언 밥 같은 가벼운 벌칙을 주고 바로 이어서 진행한다.(쪼는 간지럽히기)5. 중간에 지적당한 사람이 자기도 모르게 끼어들거나 원래 자기 차례인데 모르고 가만히 있으면 틀린다.
-
번데기 놀이학교이야기/교육놀이 2016. 2. 14. 11:50
1. 8명 내외의 한 모둠이 원을 만들어 앉는다.2. 구음과 후렴구, 몸짓을 정한다. 구음은 빈둥~ 빈둥~ 빈둥빈둥 빈둥빈둥, 몸짓은 오른손을 위아래로 흔든다. 후렴구는 번~데 번~데기로 한다.3. 틀렸을 때 벌칙 동작을 정한다.4. 시작할 사람을 정한 후 시작 구령과 함께 구음과 몸짓을 한다.5. 구음이 끝나면 시작점에서 오른쪽으로 한 사람씩 후렴구 뻔 데기, 뻔 데기를 하고 그 다음부터 처음에는 두번 뻔뻔 데기데기, 그 다음 후렴구를 하고 세번 이렇게 점차 숫자를 늘려간다.예) 번~데기 번~데기/ 뻔 뻔 데기 데기/ 뻔~데기 뻔~데기/ 뻔뻔뻔 데기데기데기/ 뻔~데기 뻔~데기/ 뻔뻔뻔뻔 데기데기데기데기/ 뻔~데기 뻔~데기/ 뻔 데기 다섯번......6. 중간에 틀리는 경우 놀이를 다시 시작하며 틀린 사..
-
신발 탑 쌓기학교이야기/교육놀이 2016. 2. 13. 13:37
1. 모둠원들이 모여 신발을 높게 쌓을 방법을 미리 상의한다.2. 정해진 3분 내외의 시간 안에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신발을 높게 쌓는다.3. 시간이 종료되면 모둠원들이 모두 손을 놓고 신발탑이 성공하였는지 확인한다.4. 첫 게임은 연습이라 생각하고 모둠원들이 모여 작전을 세우거나 단합을 도모할 시간을 준다.5. 다시 3분 내외의 시간을 주고 신발탑을 쌓도록 한다.6. 시간이 종료되면 모두 손을 떼고 가장 높은 탑을 쌓은 모둠을 확인한다.7. 성공한 모둠을 다같이 축하해준다.
-
대장을 찾아라학교이야기/교육놀이 2016. 2. 13. 13:17
1. 구성원 약 10~20명 정도로 해서 둥그렇게 앉고 술래를 한 명 뽑아 교실 바깥 또는 원 밖으로 나가 눈을 감고 있도록 한다.2. 모둠에서 대장을 정하고 그 대장은 노래에 맞춰 첫 동작을 하는 역할을 맡는다.3. 수래는 노래가 시작되면 안으로 들어온다.4. 노래를 부르는 중에 대장은 간단한 동작을 반복하면서 중간 중간에 동작을 바꿔준다.5. 다른 사람들은 술래가 대장이 누구인지 알지 못하도록 대장의 동작이 바뀔 때마다 동시에 똑같이 따라 한다.6. 술래는 노래와 함게 동작이 바뀌는 모습을 알아내야 한다.7. 술래가 세 번의 기회 안에 대장을 찾으면 그 대장이 술래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