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이야기/심리. 발달. 성장
-
기억 실험실2[한겨레신문 스크랩]학교이야기/심리. 발달. 성장 2019. 5. 22. 13:08
4당5락? 잠자는 동안 뇌는 낮에 공부한 내용 복습한다 : 과학 : 미래&과학 : 뉴스 : 한겨레 [토요판] 박형주·정수근의 기억 실험실 ②잠과 기억 깊은잠인 비렘수면, 학습한 정보 재생 렘수면이 선택한 정보 장기기억으로 학습된 정보를 보호하는 것 넘어 학습 과정 자체를 수행할 가능성도 보통 사람은 하루 7~8시간 필요해 특히 처음 4시간 잘 자야 잘 기억 뇌 발달 완성 안 된 유아·청소년은 잠 부족하면 뇌성장 불균형 가능성 깊게 잘 잔 잠은 깨어 있을 때에 학습한 정보를 장기기억으로 저장하는 데에 중요하다. 게티이미지뱅크 오래 일하는 자세를 미덕으로 여기는 한국 사회에서 잠은 그저 인생의 낭비이자 죽음에서 잠시 빌려온 시간일 뿐이다. 나 역시 중학교에 진학하자마자 아버지께서 책상 위에 놓아둔 ‘4시간 ..
-
기억실험실 1[한겨레신문 연재 스크랩]학교이야기/심리. 발달. 성장 2019. 5. 22. 13:00
아기 때 기억, 당신은 잊었어도 뇌 속에는 남아 있다 : 과학 : 미래&과학 : 뉴스 : 한겨레 [토요판] 박형주, 정수근의 기억 실험실 ① 인생의 첫 기억 대부분 3살 이전 경험은 잊어버려 왜 아기의 기억은 사라지는 걸까 뇌·기억 연구의 오랜 연구주제 ‘신생아도 기억한다’는 사실 밝혀져 배 속에서 들은 엄마 목소리 식별 아동기 기억 쉽게 사라지는 건 해마에서 신경세포 생성 늘어나 기억세포 활성화 패턴 바뀌기 때문 기억 회상은 어려워도 기억은 남아 동물실험에서 잊힌 기억 되살려내 어릴 적의 기억은 자라면서 쉽게 사라진다. 하지만 갓 태어난 아기도 자신의 경험을 저장하는 기억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게 여러 연구에서 밝혀져왔다. 최근에는 잊힌 어릴적 기억 또한 회상하지 못할 뿐이고 신경세포 어딘가에 저장되어..
-
뇌가 좋아하는 이야기 수다와 비슷하답니다.학교이야기/심리. 발달. 성장 2016. 4. 24. 22:03
지식인, 뇌과학 특강/ 쓸데없는 이야기가 아이 뇌를 키운다(신성욱, 시사인448호)...미국 미시간대학에서 흥미로운 실험을 한 일이 있다. 한 그룹은 가볍고 재미있는 수다, 다른 한 그룹은 심각한 토론을 30여분 간 나누게 한 뒤 뇌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측정한 것이다. 두 그룹의 뇌를 촬영한 결과 가벼운 수다를 나눈 그룹의 전전두엽은 빨갛게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심각한 토론을 나눈 그룹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시험을 치른 결과도 수다를 나눈 그룹이 15%포인트 가깝이 높게 나왔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이것이 이야기의 핵심이다.뇌가 좋아하는 이야기는 수다랑 비슷하다. 마음이 열리지 않으면 불가능한 것이 수다의 특징이다. .....수다의 핵심은 마음을 주고 받는 것이다. 뇌가 좋아하는 것도..
-
두뇌발달에 유익한 책읽기, 시사인, 446호학교이야기/심리. 발달. 성장 2016. 4. 3. 16:50
어린아이에게 애착이 중요한 것은 인간이 사회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인간관계를 맺는 첫 단추가 애착이다. 태어나서 처음 나를 돌봐준 사람과 애착을 맺지 몫하면 그 뒤로도 계속 문제가 생긴다. 민지는 엄마와 하루 종일 함께 책을 읽었는데도 애착 반응 검사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왜 그랬을까? 당시 담당의는 민지에 대해 "동물원에서 하는 동물들과 비슷한 상태"라고 말했다. 사육사가 원하는 대로 행동이 통제된 것이다. .....민지에게는 유사 자폐 성향이 있다는 진단도 나왔다. '초독서증' 내지 '광이언어증'으로 해석되는 하이퍼렉시아(hyperlexia)증상이 나타난 것이다. 사실 하루 종일 꼬맹이가 책을 붙들과 중얼거리고 있으면 의사들은 하이퍼렉시아를 먼저 의심한다.영어 영재로 소문난 남자아이도 있었다. ..
-
-
아이의 사생활, 만7~12세, 다양한 경험과 학습이 중요학교이야기/심리. 발달. 성장 2014. 12. 1. 18:30
김붕년 교수는 아이에게 진정으로 좋은 두뇌를 갖게 하려면 이러한 교육보다도 더 중요한 것이 있다고 강조한다 그것은 바로 '다양한 경험'이다.12세부터 17세 정도까지가 전두엽의 발달이 가장 왕성한 시기다. 청소년 시기에는 전두엽이 완전히 새로 태어난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전두엽의 구조나 전두엽의 네트워크, 시냅스의 형태, 세포의 숫자, 신경세포 자체의 숫자, 이런 것들에 전반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이 무렵, 전두엽 발달에 필요한 여러 가지를 점검하고 결정짓기 때문이다. 7~12세까지의 학령기 동안 별로 쓸모가 없었던 신경회로나 신경세포들은 12세때, 즉 전두엽이 가장 왕성하게 발달하고 변화하는 이 시기에 다 솎어져나가고 잘려나가게 된다. 인간의 뇌에서 의미있는 신경세포와 신경회로를 청소년기 이후에도 ..
-
지나친 게임은 뇌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학교이야기/심리. 발달. 성장 2014. 11. 29. 11:14
7~14세 아이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 결과, 비디오 게임을 하면 뇌의 혈약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전두엽으로 가는 혈류가 막힌다. ...게임을 하면 노의 한 부위에 피가 과도하게 몰려서 혈류가 막힐 수도 있다는 것이다. 아이의 게임시간은 줄이면 줄일수록 좋다. 두뇌 발달을 위해서도 현실생활에 적응하게 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다. 하지만 갑자기 끊으며 아이가 불안해할 수 있으므로 전략적으로 서서히 진행해야 한다. 처음에는 게임을 하는 장소를 바꾸고, 그 다음에는 게임의 종류를 바꾸고, 서서히 시간을 줄이는 등 단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또한 게임이 아닌 실제 경험에서 권력의지를 맛볼 수 있도록 대체물을 찾아주는 것도 좋다.첫번째 변화는 장소. 보통 아이가 게임을 하는 곳은 자신의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