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이야기/수업방법_수업기술
-
함께 배움 교사의 말하기학교이야기/수업방법_수업기술 2021. 4. 2. 17:28
옮긴이 후기 ...... 함께 배움은 종래의 수업과 많이 다릅니다. 첫째, 조용히 하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말하기를 권장합니다. 둘째, 가만히 앉아 있으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돌아다닐 것을 권장합니다. 셋째, 교사는 굳이 가르치지 않습니다. 학생이 서로 가르치고 배웁니다. ... 함께 배움 수업의 전개는 매우 단순합니다. 교사가 과제를 제시하면 학생들은 과제 해결 활동을 합니다. 수업 마지막에는 제대로 했는지 자기 성찰 활동을 합니다. 과제 제시 - 과제 해결 활동 - 성찰 활동 이것이 수업 전개의 전부입니다. .... 자유롭게 말하고,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좋아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함께 배움을 처음 접했을 때 저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곰곰히 생각해 보니, 더..
-
함께 배움 교사의 말하기 3학교이야기/수업방법_수업기술 2021. 4. 2. 17:15
말하기 22 학생이 갑자기 느슨해지기 시작할 때 "한 사람도 포기하지 않는다는 마음이 약해졌습니다. 미안합니다." .......학급이 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면 함께 배움을 리드하는 2할의 학생들을 살펴보세요. ... 왜 그럴까요? 그것은 교사가 전원 달성을 진심으로 요구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선생님의 마음을 읽고 리드하는 학생이 손을 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말하기 23 원인을 알 수 없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학생들에게 맡긴다." 말하기 24 학년을 마칠 때 _ 다음 학년을 향해서 "1년 동안 함께 한 친구들을 소중하게 여겨야 해요. 그리고 앞으로의 생활에서도 친구를 많이 사귀는 게 좋아요." ..."고맙습니다. 이 1년동안 여러분의 모습에 감격해서 얼마나 눈물을 흘렸는지 모릅니다. 여러분..
-
함께 배움 교사의 말하기 2학교이야기/수업방법_수업기술 2021. 4. 2. 16:50
말하기 11 틀리게 풀고 있는 학생이 많을 때 "어! 00문제를 틀리게 풀고 있는 학생이 있네요." 말하기 12 교사의 지시가 틀렸을 때 "미안해요. 칠판에 있는 내용을 읽어 보세요. 이해가 되나요? 이해한 사람은 주위의 친구들에게 주의를 시켜 주세요." 함께 배움 초기 단계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반응을 보고, 처음으로 자신의 과제가 불충분하다는 것을 알아차릴 때가 종종 있습니다. 교사가 틀렸을 경우에는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학생들의 작업을 중지시켜서는 안 됩니다. 칠판에 수정한 과제를 크게 쓰고 교사가 학생들에게 설명하려는 말을 써주세요. 그리고 이렇게 말해 주세요. " 문제 2번에서 선생님의 과제가 잘못되었습니다. 미안해요. 칠판에 있는 내용을 읽어보세요. 이해한 사람은 주..
-
함께 배움 이렇게 시작한다 3학교이야기/수업방법_수업기술 2021. 4. 2. 16:37
사귐이 서툰 학생이 있는 경우 ...교사는 고립 경향의 학생에게 "자, 물으러 다니세요"하고 재족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절대로 무리입니다. 질문하러 가더라도 받아 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 대신 학급 전체에게 한 사람도 포기하지 말 것을 요구합시다. 그러면 학급 성적 상위권이면서 교사의 말을 잘 듣는 학생이 가르치러 갈 것입니다. 그것을 칭찬한다면 서서히 변할 것입니다. 사소한 불만이나 문제도 모두의 힘으로 해결한다 ...싸움이 일어났으면 그것을 모두에게 알리고, 모두의 힘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결국 학력 향상과 마찬가지로 인간관계도 학생들이 해결하려고 하지 않는 한 본질적인 해결은 있을 수 없습니다. 돌아가는 길인지 모르지만 이것이 유일한 근본 치료법입니다. 함께 배움을 ..
-
함께 배움 이렇게 시작한다 2학교이야기/수업방법_수업기술 2021. 4. 2. 16:00
(니시카와 준, 백경석, 살림터, 2017) 4장 함께 배움을 성공시키는 비결 개별 지도는 학생에게 맡긴다. ...개별 지도를 하고 있으면 시야가 좁아져서 가르치고 있는 학생 외에는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이 잘 보이지 않게 됩니다. ... 확실히 교사가 가르치는 것이 학생보다는 능숙할 것입니다. 하지만 가르칠 수 있는 인원수가 한정되어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알아차림이다. 함께 배움을 성공시키는 최대 관건은 교사가 전원 달성을 끊임없이 추구하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함께 배움의 성패는 집단을 끌고 가는 2할의 학생이 필사적으로 움직이는 것에 달려 있습니다. 2할의 학생이 자신만 달성하면 좋다고 생각하는가, 전체를 위해 무엇인가를 하는가에 따라 차이가 생깁니다. 확인 가..
-
함께 배움 교사의 말하기 1학교이야기/수업방법_수업기술 2021. 3. 31. 16:47
니시카와 준, 백경석 역. 살림터, 2017 .... 그런데 함께 배움에서는 문제 행동을 하는 학생에게 훈계하는 것은 헛수고라고 생각합니다. 그 학생에게 말하더라도 행동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대신 학급에는 교사의 말을 순수하게 받아들이는 학생이 있습니다. 이 학생에게 말해야 한다는 것이 함께 배움의 사고방식입니다.... .... 교사가 말하는 것을 순수하게 받아들이는 학생이 문제 행동을 하는 학생에게 가서 "공부하자"하고 권하게 됩니다. 말하기 2 학생이 돌아다니려고 하지 않을 때 "이해되지 않으면 묻고 싶은 친구에게 찾아가도 좋아요." 말하기 3 가르쳐 달라고 말하지 못하는 학생이 있을 때 " 이 문제 어렵군요. 학급에는 해결할 수 있는 친구가 많이 있어요. 모두가 달성하려..
-
"함께 배움" 2. 수업 평가의 예학교이야기/수업방법_수업기술 2021. 2. 2. 16:37
1. ~쪽부터 ~쪽까지 틀리지 않고 한 번에 5분 30초 이내로 읽을 수 있다. 2. ~쪽부터 ~쪽까지 새로 나온 한자를 바르게 읽고 설명할 수 있다. 3. 1086년의 시라카와 원정, 1185년 미나모토노 요리모토의 정이대장군의 3개의 연호를 외우기 쉬운 이야기로 만들기 4. ~쪽에서 ~쪽까지 홀수 번의 문제를 전원이 풀기 5. ~쩍에서 ~쪽까지 등장하는 3인의 장군을 공책에 정리하기 6. 아래 두 사각형은 합동입니다. 각 A에 대응하는 각은 각G임을 이해할 수 있도록 친구에게 설명합니다. 친구들이 인정하면 사인을 받습니다. 세 사람의 사인을 받습니다. 7. 작가의 기분이 가장 잘 드러난 부분을 찾고, 그 이유를 모두가 이해하도록 설명할 수 있다. 8. 5개의 그래프로부터 생각할 수 있는 것은 4가지의..
-
니시카와 준의 "함께 배움" 에서 1. 함께 배움 수업의 전개학교이야기/수업방법_수업기술 2021. 2. 2. 16:29
1. 과제를 제시한다. 시작종이 울리고, 교사가 교실에 들어옵니다. 출석 확인을 한 후, 교사는 그날의 과제를 학생들에게 알려 줍니다. 수학의 경우, "교과서 ~페이지부터 ~페이지까지의 문제를 전원이 풀 수 있도록 한다."하고 과제를 칠판에 씁니다. 그리고 교사가 "자, 시작하세요"라고 말하면 학생들은 자유롭게 그룹을 만듭니다. 2. 그룹이 형성된다. 처음에는 1~8명의 다양한 크기의 그룹이 형성되지만, 잠시 지나면 4~5명이 모인 그륩이 기본형이 될 것입니다. 사람 수가 적으면 과제가 바로 해결되기 어렵고, 너무 많으면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그룹의 크기를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알아차립니다. 3. 그룹을 초월한 움직임이 생긴다! 10분 정도 지나면 최초의 그룹을 벗어난 역동적인 교류가 생깁니다. 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