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
자기 평가를 과하게 하는 경향(과 사회)카테고리 없음 2021. 9. 25. 14:21
자기평가를 과하게 하는 경향은 소득 불평등 기울기와 딱 맞아떨어집니다. 소득 편차가 작아 불평등 기울기가 완만한 독일은 과대평가 경향이 낮은 반면, 소득 편차가 커서 불평등 기울기가 가파른 미국은 과대평가 비율도 높습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이나 페루 같은 곳들은 더하고요. 불평등이 심할수록 타인을 보는 관점도 달라지는 거죠. 자신의 지위를 상대와견주어 경쟁적으로 비교하려 듭니다. (96쪽, 기만과 자기기만의 수수께끼를 풀다, 로버트 트리버스, 사피엔스의 마음, 안희경)
-
기만, 자기기만카테고리 없음 2021. 9. 25. 10:48
"아이들도 또래 가운데 영리할수록 거짓말을 더 자주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똑똑할수록 자기기만을 덜 할 것이라고 여기는 통념은 위험합니다." (사피엔스의 마음, 기만과 자기기만의 수수께끼를 풀다, 로버트 트리버스, 93쪽) 우리 사회를 이끌어가는 힘있는 사람들이 모두 공부를 잘하고 능력도 뛰어난데, 우리 사회는 그만큼 좋은 쪽으로 가고 있지 않은 이유는 뭘까? 똑똑하다고, 영리하다는 것과 (공동체에 이로운) 좋은 선택을 하는 것은 늘 같이 가는 것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그의 관심의, 또는 그의 근심의 범위가 그 자신과 그의 가족에만 머물러 있는지, 아니면 조금 더 넓은 데까지 뻗어 있는지이다. 그리고, 영리하면 더 좋은 판단을 내리고 결정을 할 것이라는 우리의 통념은 다시 곰곰히 생각해보아야 한다. 영..
-
-
함께 배움 교사의 말하기학교이야기/수업방법_수업기술 2021. 4. 2. 17:28
옮긴이 후기 ...... 함께 배움은 종래의 수업과 많이 다릅니다. 첫째, 조용히 하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말하기를 권장합니다. 둘째, 가만히 앉아 있으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돌아다닐 것을 권장합니다. 셋째, 교사는 굳이 가르치지 않습니다. 학생이 서로 가르치고 배웁니다. ... 함께 배움 수업의 전개는 매우 단순합니다. 교사가 과제를 제시하면 학생들은 과제 해결 활동을 합니다. 수업 마지막에는 제대로 했는지 자기 성찰 활동을 합니다. 과제 제시 - 과제 해결 활동 - 성찰 활동 이것이 수업 전개의 전부입니다. .... 자유롭게 말하고,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좋아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함께 배움을 처음 접했을 때 저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곰곰히 생각해 보니, 더..
-
함께 배움 교사의 말하기 3학교이야기/수업방법_수업기술 2021. 4. 2. 17:15
말하기 22 학생이 갑자기 느슨해지기 시작할 때 "한 사람도 포기하지 않는다는 마음이 약해졌습니다. 미안합니다." .......학급이 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면 함께 배움을 리드하는 2할의 학생들을 살펴보세요. ... 왜 그럴까요? 그것은 교사가 전원 달성을 진심으로 요구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선생님의 마음을 읽고 리드하는 학생이 손을 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말하기 23 원인을 알 수 없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학생들에게 맡긴다." 말하기 24 학년을 마칠 때 _ 다음 학년을 향해서 "1년 동안 함께 한 친구들을 소중하게 여겨야 해요. 그리고 앞으로의 생활에서도 친구를 많이 사귀는 게 좋아요." ..."고맙습니다. 이 1년동안 여러분의 모습에 감격해서 얼마나 눈물을 흘렸는지 모릅니다. 여러분..
-
함께 배움 교사의 말하기 2학교이야기/수업방법_수업기술 2021. 4. 2. 16:50
말하기 11 틀리게 풀고 있는 학생이 많을 때 "어! 00문제를 틀리게 풀고 있는 학생이 있네요." 말하기 12 교사의 지시가 틀렸을 때 "미안해요. 칠판에 있는 내용을 읽어 보세요. 이해가 되나요? 이해한 사람은 주위의 친구들에게 주의를 시켜 주세요." 함께 배움 초기 단계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반응을 보고, 처음으로 자신의 과제가 불충분하다는 것을 알아차릴 때가 종종 있습니다. 교사가 틀렸을 경우에는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학생들의 작업을 중지시켜서는 안 됩니다. 칠판에 수정한 과제를 크게 쓰고 교사가 학생들에게 설명하려는 말을 써주세요. 그리고 이렇게 말해 주세요. " 문제 2번에서 선생님의 과제가 잘못되었습니다. 미안해요. 칠판에 있는 내용을 읽어보세요. 이해한 사람은 주..
-
함께 배움 이렇게 시작한다 3학교이야기/수업방법_수업기술 2021. 4. 2. 16:37
사귐이 서툰 학생이 있는 경우 ...교사는 고립 경향의 학생에게 "자, 물으러 다니세요"하고 재족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절대로 무리입니다. 질문하러 가더라도 받아 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 대신 학급 전체에게 한 사람도 포기하지 말 것을 요구합시다. 그러면 학급 성적 상위권이면서 교사의 말을 잘 듣는 학생이 가르치러 갈 것입니다. 그것을 칭찬한다면 서서히 변할 것입니다. 사소한 불만이나 문제도 모두의 힘으로 해결한다 ...싸움이 일어났으면 그것을 모두에게 알리고, 모두의 힘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결국 학력 향상과 마찬가지로 인간관계도 학생들이 해결하려고 하지 않는 한 본질적인 해결은 있을 수 없습니다. 돌아가는 길인지 모르지만 이것이 유일한 근본 치료법입니다. 함께 배움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