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이야기/학교제도의 기원
-
선발 기능만 강조하는 한국 교육(경제, 알아야 바꾼다, 주진형, 메디치)학교이야기/학교제도의 기원 2020. 2. 6. 09:56
(위 책 240쪽~ ) .... 우리나라는 10세기경에 고려 태조 왕건의 아들인 광종이 과거제도를 처음 들여왔고요. 사실 과거제도 자체는 인류 역사상 엄청난 혁신입니다. 세습으로 신분을 물려주지 않고 능력을 평가해서 국가 엘리트를 선발하는 제도입니다..... ...과거 준비를 위한 교육을 사교육에 의존했다는 것입니다. 자기 돈으로 공부해 소과( )에 붙은 다음에야 나라에서 이들을 성균관에 데려와 교육한 후에 대과에 합격하면 고급 관료로 썼지요. 과거제도의 큰 특징은 학교교육을 수반하지 않는 관리등용 시험이었다는 점입니다. 지방과 중앙에 국립학교를 일부 세우긴 했지만 정부는 학교와 교육에 큰돈 들이지 않고 민간에만 맡겨둔 채 오로지 유능한 관리를 중아에서 어떻게 뽑는지에만 관심을 기울였어요. 그러자니 복잡..
-
혁신학교 정리학교이야기/학교제도의 기원 2015. 9. 30. 12:07
거산초평가는 최소화(기말에만 지필평가, 평소에는 수행평가 위주)생태교육. 교육과정 재구성, 생태교육지원단(학부모 지역인사 중심) 문학교육. 독서교육지원단문화예술교육. 핵심은 인성교육(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자존감을 높임), 여름 가을 계절학교(작은 음악회, 예술 발표회) 구름산초스몰스쿨. 도시 대규모학교에서 시도, 학년중심의 스몰스쿨제, 배움이 담긴 통지표. 과정평가, 서술형, 논술평가, 1년 활동 포트폴리오동아리활동. 자생적, 학부모 협력교사학생회. 전체두레와 학년두레. 이야기 나누기아름드리학교. 지역 어르신 한글수업블록수업. 80분 수업, 30분 중간놀이체험형 탐구학습. 통합교과적 형태로 운영, 종합적 문제해결능력 향상 및 다양한 체험호라동4학기제 운영. 8주 단위. 평가도 계절학교
-
교장자격증제에 대하여학교이야기/학교제도의 기원 2015. 1. 19. 19:07
이 글의 카테고리를 학교제도의 기원이라고 한 것은 예전부터 알아보고 싶었던 주제가 몇 가지 있는데, 그것은 교장자격증 제도와 운동회, 전교어린이회 같은 것이고 이런 것들을 주제로 묶으면 학교제도 정도가 될 것 같고, 제도가 오래 되다 보니 그 기원을 찾아볼 필요가 있겠다 싶어 정한 것이다. 사람들에게 물어본 바에 따르면 식민지 시기 일본의 교육제도가 이식되면서 도입된 것이라고 하는데, 책으로 출판된 것은 찾아보기 어려운 것 같다. 인터넷 여기 저기에 있는 교장자격증제에 대한 자료를 일단 모아보려고 하는데 그러다 보면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아마도 교장자격증제(교감자격증제를 포함하여)를 가진 나라는 우리나라와 일본 정도가 아닐까 싶다. 기본적으로 나는 교장자격증이라는 것이 필요없다..
-
다른 나라의 교장제도학교이야기/학교제도의 기원 2014. 12. 31. 09:33
이 글은 교육희망(전교조 발행신문) 2001.5. 강신만이라는 분이 기사를 입력했다고 하고 말미에 글쓴이는 대표집필, 전종옥(양서중교사)로 소개되어 있는, 교장자격vs교장선출보직제 연재기사의 "20세기 청산 다시 서는 학교교육(5) 교장" 부분을 부분인용한 것이다. 4]다른 나라에서는 이렇게 한다다른 나라들은 교장 임용 전에 반드시 교사들의 심의를 거치고 있다. 점수로 교장자격증을 발급하는 나라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다. ·독일 : 초빙 공고(교사 중에서)→ 학급수업운영시범, 학교운영에 관한 제반 사항에 대한 공개토론, 법률에 대한 구술시험 등을 거친 후 교사협의회의 심사를 거친 후 임용한다. 학교에 따라 임기제 또는 정년제 적용하며 별도의 교장자격증은 없다. ·프랑스 : 교원노조 대표와 교육행정 당국..
-
교장자격증제에 대하여학교이야기/학교제도의 기원 2014. 12. 31. 09:27
이 글의 카테고리를 학교제도의 기원이라고 한 것은 예전부터 알아보고 싶었던 주제가 몇 가지 있는데, 그것은 교장자격증 제도와 운동회, 전교어린이회 같은 것이고 이런 것들을 주제로 묶으면 학교제도 정도가 될 것 같고, 제도가 오래 되다 보니 그 기원을 찾아볼 필요가 있겠다 싶어 정한 것이다. 사람들에게 물어본 바에 따르면 식민지 시기 일본의 교육제도가 이식되면서 도입된 것이라고 하는데, 책으로 출판된 것은 찾아보기 어려운 것 같다. 인터넷 여기 저기에 있는 교장자격증제에 대한 자료를 일단 모아보려고 하는데 그러다 보면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아마도 교장자격증제(교감자격증제를 포함하여)를 가진 나라는 우리나라와 일본 정도가 아닐까 싶다. 기본적으로 나는 교장자격증이라는 것이 필요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