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비석치기
    학교이야기/교육놀이 2015. 9. 15. 17:07

    준비) 둘로 편을 가른 뒤 4~5 m 거리를 두고 길게 두 줄을 긋는다. 가위, 바위, 보로 공격 순서를 정한다.

    1. 진 편은 비석을 세우고 이긴 편은 차례로 상대 비석을 맞힌다.

    2. 맞히면 계속 던지고 못 맞히면 그 사람은 죽는다. 상대 비석을 모두 맞히면 다음 단계로 올라가고 죽었던 사람들도 다시 살아난다.

    3. 비석이 남아 있는데 살아 있는 사람이 없으면 공수가 바뀐다.

    4. 장님 단계까지 먼저 통과하면 이긴다.

    *비석치기 단계별 동작

    1. 세발 뛰기: 세 발 정도 뛸 수 있는 거리에 비석을 던진 다음 한 발로 깡충깡충 3번 뛰는 형태로 비석을 밟아야 하며 비석 밟은 발을 뒤로 짧게 뛰어 한 걸음 뺀 다음 비석을 잡고 던져 상대편 비석을 쓰러뜨린다. 던진 비석이 상대편 비석을 바로 쓰러뜨리지 못하거나 금에 닿거나 넘아가면 죽는다. 또한 비석을 밟지 못하거나 밟다가 비석이 퉁겨나가며 죽는다. 또한 비석을 밟은 발이 비석 앞으로 나가거나 뒤로 한 걸음 빼면서 한 걸음 외에 더 움직이면 죽는다. 비석을 잡을 때 비석이 아닌 다른 곳을 손으로 짚어도 죽는다.

    2. 두 발 뛰기: 두 발 정도 뛸 수 있는 거리에 비석을 던진 다음, 한 발로 깡충깡충 2번 뛰는 형태로 비석을 밟아야 하며 비석 밟은 발을 뒤로 한 걸음 뺀 다음 비석을 잡고 던져 상대편 비석을 쓰러뜨린다. 나머지는 세 발 뛰기와 같다.

    3, 한 발 뛰기: 한 발 정도 뛸 수 있는 거리에 비석을 던진 다음 한 발로 뛰어 비석을 밟아야 하며 비석 밟은 발을 뒤로 한 걸음 뺀 다음 비석을 잡고 던져 상대편 비석을 쓰러뜨린다. 나머지는 세발 뛰기와 같다.

    4. 세 발 뛰어 차기: 세 발 뛰기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한다. 다만 비석을 밟고 뒤로 나왔을 때 비석을 손으로 집지 않고 발로 차서 상대편을 쓰러뜨린다.

    5. 막까기: 그냥 서있는 상태에서 비석을 던져 상대편 비석을 쓰러뜨린다. 금을 밟거나 넘어가서 던지면 죽는다.

    6. 도둑발(발등): 비석을 발등 위에 올려놓고 상대편 가까이 가서 비석을 날려 상대편 비석을 쓰러 뜨린다. 오른발 발등을 먼저 하고 다음은 왼발 발등을 한다. 왼발 해서 죽으면 다음에 할 때 다시 오른발부터 왼발까지 해야 한다. 발등위에 있는 비석이 땅에 떨어지거나 비석을 던지면서 발이 금에 닿거나 넘어가면 죽는다.

    7. 토끼뜀(발목): 비석을 발목 사이에 끼워 놓고 깡충깡충 뛰어간다. 상대편 비석 가까이 가서 비석을 날려 상대편 비석을 쓰러뜨린다. 뛰어갈 때 비석이 빠져서 떨어지거나 땅에 닿으면 죽고, 발목에 있는 비석을 던지면서 발이 상대편 비석이나 금에 닿거나 넘어가면 죽는다.

    8. 오줌싸개(무릎): 비석을 무릎 사이에 끼우고 어기적어기적 걸어간다. 상대편 비석 가까이 가서 비석을 떨어뜨리면서 발이 금에 닿거나 넘어가면 죽는다.

    9. 똥꼬(엉덩이): 앞에서 보았을 때 비석이 보이지 않도록 비석을 엉덩이 사이에 끼우고 걸어간다. 상대편 비석 가까이에서 뒤돌아선 다음 비석을 떨어뜨려 상대편 비석을 쓰러뜨린다. 엉덩이에 낀 비석을 떨어뜨리면서 발에 금에 닿거나 넘어가면 죽는다.

    10. 배사장(배): 비석을 배 위에 올려놓고 간다. 상대편 비석 가까이에서 비석을 떨어뜨려 상대편 비석을 쓰러뜨린다. 배 위에 비석을 떨어뜨리면서 발이 금에 닿거나 넘어가면 죽는다. 무릎을 굽히면 선 채로 떨어뜨려야 한다.

    11. 영감(등): 비석을 등 위에 올려놓고 간다. 상대편 비석 가까이에서 비석을 떨어뜨려 상대편 비석을 쓰러뜨린다. 등 위에 있는 비석을 떨어뜨리면서 발이 금에 닿거나 넘어가면 죽는다. 무릎을 굽히면 안 되고 선채로 떨어뜨려야 한다.

    12. 비행기(손등): 팔을 쭉 펴고 비석을 손등 위에 올려놓고 "우;~잉"하고 소리를 내며 뛰어가 상대편 비석 가까이에서 비석을 떨어뜨려 상대편 비석을 쓰러뜨린다. 오른 손등을 하고 다음에 왼손 손등을 한다. 왼손에서 죽으면 다시 오른손부터 왼손까지 해야 한다.

    13. 신문팔이(겨드랑이): 비석을 겨드랑이에 끼우고 상대편 앞에 서서 "신문 사세요"라고 한다. 상대편은 무슨 신문이요?하고 물어볼 수도 있고, 안 산다고 말할 수도 있다. 대화를 통해 상대편이 살 수 밖에 없도록 한 다음, 상대편이 산다고 하면 그때서야 비석을 떨어뜨려 상대편 비석을 쓰러뜨릴 수 있다. 겨드랑이에 있는 비석을 떨어뜨리면서 무릎을 굽히면 안 되고 선 채로 떨어뜨려야 한다. 너무 까다롭게 하면 역할이 바뀌었을 때 자신도 힘들어지니 이유가 적당하다면 신문을 사겠다고 말하는 것이 좋다.

    14. 뒷목: 비석을 목 뒤에 올려놓고 상대편 비석 가까이에서 떨어뜨려 상대편 비석을 쓰러뜨린다. 뒷목에 있는 비석을 떨어뜨리면서 무릎을 굽히면 안되고 허리는 굽힐 수 있다.

    15. 귀마개(귀): 비석을 귀 뒤에 올려놓고 상대편 비석 가까이에서 떨어뜨려 상대편 비석을 쓰러뜨린다. 무릎을 굽히면 안되고 허리는 굽힐 수 있다.

    16. 이마: 비석을 이마에 올려놓고 상대편 비석 가까이에서 떨어뜨려 상대편 비석을 쓰러뜨린다.

    17. 떡장수(머리): 비석을 머리 위에 올려놓고 "떡 사세요"라고 외치며 상대편 앞에 가서 선다. 상대편이 "떡 주세요"라고 해야만 비석을 떨어뜨려 상대편의 비석을 쓰러뜨릴 수 있다. 상대편이 "배 안 고파요", "떡 싫어합니다.", "무슨 떡 있어요?" 등등 다양하게 물어올 수 있는데 적절히 대응하여 상대편이 "떡 주세요"한 말이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다. 신문팔이와 마찬가지로 너무 까다롭게 하면 역할이 바뀌었을 때 똑같이 당할 수 있으니 적절한 수준에서 떡을 팔 수 있도록 한다. 대화 도중 비석이 떨어지면 죽는다.

    18. 장님: 눈을 뜬 상태에서 비석을 던져 놓고 어디에 있는가를 확인한 뒤 눈을 감은 상태에서 걸어가 비석 근처라고 생각한 곳에 멈춰 선 다음 비석을 찾아 눈을 감은 채로 그대로 던져 쓰러뜨린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