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교사를 춤추게 하라 3
    생각/책읽기 2013. 7. 26. 14:12

    억지처럼 들릴지 모르겠지만, 사람은 배우고 있을 때는 자신이 지금 무엇을 배우고 있는지 잘 모릅니다. 자신이 어리도 향하고 있는지도 잘 모르지요. 그러나 그것으로 된 겁니다. 그 무지와 불능을 자각할 때 비로소 자신이 하고 있는 것을 아는 시좌를 상상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 상상의 시좌에서 자신이 있는 곳을 조감하는 것, 그것이 바로 맵핑mapping입니다.

    경쟁을 강화해도 학력이 오르지 않는 까닭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학력 향상은 경쟁을 통해서 달성된다고 믿고 있습니다. 확실히 개인의 학력은 경쟁을 통해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쟁에서 이기는 것만 가르치면, 아이들은 가가운 장래에 자기 혼자만 유능하고 상대적으로 나머지는 자기보다 무능한 상태를 이상적인 것으로 생각하게 됩니다. 

    상대적이라는 점이 핵심입니다. 지금 여기에서의 경쟁에서 이긴다에 한정해서 보자면 자신의 학력을 올리는 것과 경재 상대의 학력을 떨어뜨리는 것은 결과적으로 같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아이들은 자신의 학력을 올리는 노력에 상응하는 노력을 경쟁 상대의 학력을 떨어뜨리는 일에 투입합니다. 물론 태반은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학력을 올리려는 노력은 자기 혼자에게만 해당되지만 타인의 학력을 떨어뜨리려는 노력, 예를 들어 잡담을 해서 교사를 화나게 하는 것은 반 전체의 학습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비용효과로 보자면 경쟁 상대의 학력을 떨어뜨리는 편이 압도적으로 경제적입니다. .....경쟁을 강화해도 학력은 올라가지 않습니다.

    친족의 기본구조와 교육제도

    레비스트로스는 아이와 어머니, 아버지 그리고 삼촌 또는 이모 이렇게 네명으로 이루어지는 4항구조를 친족의 기본구조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이 구조는 근친상간의 금기와 친족 규칙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모델입니다만, 저는 이것을 성숙 모델 혹은 교육 모델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내아이의 성장을 위해서는 부모 세대에 세명의 어른이 필요합니다. 어머니와 아버지 그리고 삼촌(또는 외삼촌)입니다. 레비스트로스가 인류학적 연구에서 발견한 규칙은 전 세계 모든 사회 집단에서 아버지와 삼촌은 사내아이에게 다른 육아 전략을 구사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아버지가 엄격하게 아이를 키우는 사회에서는 삼촌이 아이의 응석을 받아주고 아버지와 아들이 친밀한 사회에서는 삼촌이 성가실 정도록 까다로운 역할을 맡습니다. 즉, 아버지와 삼촌은 상호보완적으로 기능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