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께 배움" 2. 수업 평가의 예학교이야기/수업방법_수업기술 2021. 2. 2. 16:37
1. ~쪽부터 ~쪽까지 틀리지 않고 한 번에 5분 30초 이내로 읽을 수 있다.
2. ~쪽부터 ~쪽까지 새로 나온 한자를 바르게 읽고 설명할 수 있다.
3. 1086년의 시라카와 원정, 1185년 미나모토노 요리모토의 정이대장군의 3개의 연호를 외우기 쉬운 이야기로 만들기
4. ~쪽에서 ~쪽까지 홀수 번의 문제를 전원이 풀기
5. ~쩍에서 ~쪽까지 등장하는 3인의 장군을 공책에 정리하기
6. 아래 두 사각형은 합동입니다. 각 A에 대응하는 각은 각G임을 이해할 수 있도록 친구에게 설명합니다. 친구들이 인정하면 사인을 받습니다. 세 사람의 사인을 받습니다.
7. 작가의 기분이 가장 잘 드러난 부분을 찾고, 그 이유를 모두가 이해하도록 설명할 수 있다.
8. 5개의 그래프로부터 생각할 수 있는 것은 4가지의 선택 항목 중에서 2번과 4번입니다. 1번과 3번은 아닙니다. 그것을 모두가 이해할 수 있게 친구 3명에게 설명하여 사인을 받습니다.
9. 독창적인 작품 만들기. 자신만의 방법으로 만들어 주세요. 그리고 다른 사람과 어디가 다른지, 다른 의미가 있는지 친구들에게 설명해 주세요.
10. 학생들이 단원평가 문제를 만들기. 작년에는 이런 과제가 나왔는데 이것보다 더 멋진 과제를 만들어주세요.
* 시간을 연장해서는 절대로 안 됩니다. 한 사람만 완성하지 못하고 주위의 학생이 놀기 시작하면 '전원달성'이라는 목표를 다시 한 번 강조하고 그 의미를 되새겨보게 한다.
11. 단원평가에서 전원 00점 이상을 받자.
"과제를 제시할 때 무엇을 평가하는지, 어떻게 평가할 지를 명확히 알려주어야 학생들이 방향을 잃지 않고 과제해결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학생들에게 과제를 설명하면서 "평가는 학습 종료 후 제비뽑기로 3명을 선정하여 이번 시간의 과제를 친구들에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3명이 모두 제대로 설명하면 전원이 이번 시간의 목표를 달성한 것으로 간주하겠습니다. " 하고 명확하게 평가를 언급하는 식으로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