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평 남산뫼 학살 사건생각/역사이야기 2020. 9. 30. 18:20
시사인 680호, 정희상의 '괄호 속 현대사' 가운데에서 일부
"당시 정근욱씨는 함평군청에 신설된 정책개발담당관을 맡았다. 함평 학살 사건진실을 규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직책이었다. 그는 함평유족회장까지 겸했다. 전국을 뛰며 권준옥 중대장을 수소문했다. 그 결과 권준옥이 1970년대 초 중령으로 예편한 뒤, 이름을 바꿔 정부산하기관에서 근무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하지만 권준옥은 69세로 사망한 뒤였다.
그러나 끈질긴 노력 끝에 권준옥의 당시 연락병이 제주도에 살고 있다는 정보를 얻어냈다. 1990년대 후반 정근욱은 제주도를 들락거리며 두려움에 입을 떼지 않으려는 정 아무개씨(함평 학살 당시 일병)를 설득했다. 정근욱의 삼고초려에 감동한 정씨는 결국 입을 열었다.
"12월 2일 한새들 전투 때 5중대원 2명이 산에 은신한 공비가 쏜 총에 맞아 사망했다. 전투가 너무 늦게 끝나 일단 중대본부가 있는 문장마을로 철수한 뒤 이튿날 낮에 시신을 수습하려 갔다. 공비들이 전사자의 옷과 소지품을 다 벗겨가고 시신에 난도질을 했더라. 5중대장은 두 병사를 화장하면서 '너희 둘 저승가는 길에 외롭지 않게 수천 명의 길동무를 딸려 보내주마'라고 복수를 다짐했다. 그 다음 날부터 중대장은 보이는 마을마다 사람들을 불러내 무조건 총살하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