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교육 문제..(경제, 알아야 바꾼다, 주진형, 메디치)학교이야기 2020. 2. 6. 10:32
(위의 책 254쪽~ )
...사교육이 극성을 부리게 된 데는 두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먼저, 사교육에 투자할 수 있는 자원을 가진 사람이 많아졌어요. 또 한 가지는 원청에 들어가는 문은 좁아지고 그것에 따른 자릿세는 더 많아지니까 경쟁만 격화되고 돈이 더 들어가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부모의 재력 덕에 가난한 집 아이보다 등수가 좀 더 올라가는 차이는 있겠지만 그래봤자 순서는 크게 달라지지 않는데 말이죠.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입시가 한층 덜 고약합니다.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 2학년 때까지는 동아리 활동을 매우 활발하게 합니다. 일본 영화를 보면 밴드니 뭐니 동아리 활동하느라 벌어진 일화를 다룬 게 많아요. 고교 야구팀만 3,000개라고 하죠. 그런 식으로 거의 모든 학생이 한두 개 정도 방과후 활동을 매일 합니다. 그러다 고3이 되면 좋은 대학교에 가야겠다는 일부 학생만 클럽 활동을 그만둡니다. 그렇지 않으면 클럽 활동을 하면서 고3을 보내고 대학교에 진학합니다. 저는 이것이 몇몇 유명 대학교뿐만 아니라 나머지 대학교를 나와도 월급에서 크게 차이 나지 않는 직장과 직업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라고 봅니다.
일본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차가 있기는 해도 우리처럼 심하지는 않아요....
...저는 사회적 보상의 차별을 줄이는 과정에서 출구를 넓히는 게 궁극적인 해결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병목은 놔둔 채 앞 단계에서만 교육개혁한다고 난리 쳐봤자 막힌 길을 뚫는 데는 소용이 없다는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