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좌뇌, 우뇌라는 말에 속지마라
    이야기/재미있는 이야기 2016. 4. 16. 00:47

    좌뇌, 우뇌라는 말에 이상 속지 마라

     - 신성욱(과학 저널리스트), 뇌과학 특강/ 우리가 속아온 뇌과학의 신화

    ....신경망 최소 단위인 시냅스의 밀도가 일생동안 얼마나 변하는지 살펴보면 생후 2_12개월 무렵 최고조에 달했다가 뒤로는 하강 곡선을 그린다. 1980년대까지는 이것만 보고 3 이전에 뇌가 완성되는 알았다. 그러나 뇌과학이 발달하면서 시기 시냅스가 툭툭 끊어져 있음을 알게 됐다씨에서 싹이 나면 농부가 쭉정이를 골라 버리듯 도한 일단 시냅스로 가설공사만 해놓은 상태에서 끊임없이 가지치기를 해나가며 뇌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뇌과학이 아직 발달하지 않은 초창기에는 시냅스가 많을 성능도 최고조에 이르는 것으로 착각했던 것이다.


    오늘날 많은 뇌과학자들은 우리가 시장에서 흔히 듣던 얘기와는 전혀 다른 얘기를 들려준다. 열두 살이 되기 전까지 아이들의 뇌는 온전한 인간의 뇌가 아니라고 이들은 말한다. 시기 아이들의 뇌는 공사장이다. 인간이 집을 짓기 위해서다. 열두 살이 지났다고 뇌의 준공이 끝나는것도 아니다. 사춘기부터는 뇌가 대대적인 리모델링 공사에 들어가면서 한차례 뒤집어지는 과정을 거친다. 바람에 사춘기의 '발광' 나타나긴 하지만, '나는 어디서 왔을까?'처럼 이전에 없던 질문을 하는 것도 이떄부터이다. 이떄부터 우리의 뇌는 인간의 뇌로 본격 도약하기 시작한다. 이성에 대한 생각을 비롯해 세계관, 인간관, 종교관 인간 만이 갖는 특징들이 시기 이후 발달하면서 인간으로서의 자아가 본격적으로 생겨나는 것이다.


    세계 아이들은 '다다다다' 뛰어다닌다. 인종, 문화에 관계없이 모두가 그렇다. 심지어는 전쟁터의 아이들도 뛰어다닌다. 이것이 발달에 필수적이기 대문이다. 그런데 어른들은 이를 허용치 않는다.  - 시사인, 사교육걱정없는 세상, 신성욱, 우리가 속아온 뇌과학의 신화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