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우리는 생물의 멸종을 우려하고 적극적으로 보호 활동을 해야 하는 것일까?이야기 2014. 7. 28. 16:20
예를 들어 텔레비전에서 이 생물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하면 왠지 '그래. 보호해야 해.' 하고 생각하게 된다. 그런데 왜 보호해야 하는 것일까? 왜 멸종해서는 안 되는 것일까? 원래 자연계는 약육강식이 당연시 되는 세계다.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도태되는 것은 어쩔 수 없다는 생각도 할 수 있다. 그런데 세상 사람들은 생물 다양성의 중요성을 외치며 멸종 위기종을 보호하려 노력한다.
예전에 나는 그 답을 찾아서 생물 역사 연구가인 나카무라 게이코 선생의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그에 따르면 생물은 다양성을 지님으로써 '생물 자체의 존속'을 꾀한다고 한다. 각각의 종이 살아남고자 함은 물론이고 가혹한 환경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일부 종은 살아남을 수 있도록 다양성을 확보한다. 평소에는 함께 살고 천재지변이 일어날 경우 누군가는 살아남는다는 발상이다. 생물의 역사를 살펴보면 실제로 거대한 천재지변이 일어난 뒤일수록 더 많은 종이 탄생해 다양성이 높아졌다고 한다. 자신들이라는 '하나의 종'이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생물 전체의 관점에서 생명을 이어 나간다. 그렇기 때문에 생물 다양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하버드의 생각수업, 후쿠하라 마사히로, 엔트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