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지역이야기
영덕지역 연구.....
비숲
2007. 9. 28. 15:04
지역의 교육이나 경제와 관련된 현황을 분석하고 전망을 내놓을 수 있는 연구자료와 연구집단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꽤 해왔는데...내가 알기로 지난 2005년께 있었던 핵폐기물처리장 도입 찬성 단체중에 이런 비슷한 이름을 걸고 있는 단체가 있었던 것 같기는 한데 제대로 된 연구소같은 건 없는 것 같고, 연구집단의 경우는 더 없는 것 같다.
필요를 느끼는 방향은 대체로 교육과 경제와 관련된 방향이다.
1. 교육
한마디로 요약하면 초중등교육정상화. 정도가 될 것인데, 잘 놀고, 잘 먹고, 공부도 열심히 하고 이런거다.
1.1. 중학교 진학현황이나 고등학교 진학현황자료를 놓고 고등학교 졸업이후 이 지역학생들의 진로를 분석해 보면 결과적으로 이 학생들이 받는 학업성취스트레스나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이 별로 효과적이 못함 이렇게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겨우 이 정도 할려고 그렇게 학생들 고생시켰어? 소리가 나오지 않을까 싶다. 그렇다면 차라리 마음 편하게 놀려주고 놀 수 있도록 도와주고 하면 더 나은 20대를 준비할 수 있을 거 같다.
1.2. 잘 먹는 문제는 학교급식과 관련된 건데 지역농산물을 급식재료로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고 그 과정에 벌어지는 이런 저런 일들이 있을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생협같은 쪽으로 틀을 잡을 수 있겠다.
1.3. 물론 공부 열심히 하겠다는 학생 열심히 도와주는 쪽으로도 고민을 해야겠는데 우선 중요하게 떠오르는 것은 교사문제다. 뜻을 같이 하는 교사를 불러올 수 있는......사람도 필요하고 정책도 필요하다.
2. 경제
2.1. 있는 돈 잘 쓰는 방법
지방자치단체의 한해 예산이 얼마 정도인지는 모르겠는데 안 써도 되는 돈 좀 아껴서 좋은 데(사회복지, 생태, 교육) 쓸 수 있도록 자료를 좀 모아놓고 연구를 하면 좋겠다.
2.2. 개발주의를 대신할 수 있는 지역경제프로그램
지역경제의 큰 흐름을 잡고 (영덕, 강구, 축산, 병곡, 창수 등), 방향을 좀 바꿔서 개발주의 대신 자치, 순환, 행복, 친절, 인정 이런 걸 뭐라고 하는지 모르겠는데, 그런 쪽으로 갈 수 있는 길을 찾는 것.
필요를 느끼는 방향은 대체로 교육과 경제와 관련된 방향이다.
1. 교육
한마디로 요약하면 초중등교육정상화. 정도가 될 것인데, 잘 놀고, 잘 먹고, 공부도 열심히 하고 이런거다.
1.1. 중학교 진학현황이나 고등학교 진학현황자료를 놓고 고등학교 졸업이후 이 지역학생들의 진로를 분석해 보면 결과적으로 이 학생들이 받는 학업성취스트레스나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이 별로 효과적이 못함 이렇게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겨우 이 정도 할려고 그렇게 학생들 고생시켰어? 소리가 나오지 않을까 싶다. 그렇다면 차라리 마음 편하게 놀려주고 놀 수 있도록 도와주고 하면 더 나은 20대를 준비할 수 있을 거 같다.
1.2. 잘 먹는 문제는 학교급식과 관련된 건데 지역농산물을 급식재료로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고 그 과정에 벌어지는 이런 저런 일들이 있을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생협같은 쪽으로 틀을 잡을 수 있겠다.
1.3. 물론 공부 열심히 하겠다는 학생 열심히 도와주는 쪽으로도 고민을 해야겠는데 우선 중요하게 떠오르는 것은 교사문제다. 뜻을 같이 하는 교사를 불러올 수 있는......사람도 필요하고 정책도 필요하다.
2. 경제
2.1. 있는 돈 잘 쓰는 방법
지방자치단체의 한해 예산이 얼마 정도인지는 모르겠는데 안 써도 되는 돈 좀 아껴서 좋은 데(사회복지, 생태, 교육) 쓸 수 있도록 자료를 좀 모아놓고 연구를 하면 좋겠다.
2.2. 개발주의를 대신할 수 있는 지역경제프로그램
지역경제의 큰 흐름을 잡고 (영덕, 강구, 축산, 병곡, 창수 등), 방향을 좀 바꿔서 개발주의 대신 자치, 순환, 행복, 친절, 인정 이런 걸 뭐라고 하는지 모르겠는데, 그런 쪽으로 갈 수 있는 길을 찾는 것.